투자전략
◆ 정부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 기대에 코스닥 700선 돌파 (창투사)
2017/11/06 08:34:04 조회 : 19788
◆ 정부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 기대에 코스닥 700선 돌파 <투자전략>
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한 신용융자잔고가 사상 처음으로 9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11거래일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5일째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 2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전날대비 799억원 늘어난 8조9374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초대비로는 2조1291억원(31.3%) 증가했다.
최근 증시 랠리가 이어지면서 신용거래융자도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신용융자 규모가 과도한 수준이라는 얘기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시가총액이 늘어나면 신용융자도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것이라는 평가다. 다만 신용거래 비중이 높은 종목은 변동성이 크고 매물 부담이 일시에 몰릴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겠다.
한편 국내 주식형펀드에선 대규모 환매가 이어지고 있다. 10월 한 달 동안 국내 주식형펀드에서는 1조9499억원이 순유출됐다. 코스피 지수가 급등하자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일 기준 국내 주식형펀드에선 854억원이 순유출됐다. 전날 792억원 순유출을 포함하며 11월 들어서도 1646억원이 빠져나간 것이다. 증시의 추가 상승에 의구심을 가진 투자자들이 환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피가 상승랠리를 이어가며 지난 주말 11.61포인트(0.46%) 오른 2557.97로 종가 기준 사상최고치 기록을 새로 썼다. 외국인들이 이틀째 매도세를 보였지만 기관들이 6거래일 만에 매수세로 돌아서며 지수를 끌어 올렸다. 업종별로 보면 의약품(2.02%)의 강세가 두드러진 반면 그동안 증시 호조세를 견인해온 전기전자(-0.79%)가 부진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3만4000원(-1.19%) 떨어진 281만9000원에 마감, 이틀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삼성전자에 5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보이던 외국인이 이날은 1995억원어치(7만889주) 대규모 순매도하며 차익실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닥지수는 지난해 8월 이후 1년3개월만에 700선 고지에 올라 섰다. 전일 대비 6.17포인트(0.89%) 오른 701.13을 기록했다.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 기대와 양호한 코스닥 기업 실적 등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다. 시총 상위 제약주가 상승을 주도하는 모습이다. 코스닥 대장주 셀트리온(2.09%), 셀트리온헬스케어(1.75%), 신라젠(6.65%), 메디톡스(6.97%), 휴젤(3.32%)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원/달러 환율이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연저점에 근접했다. 국내 경기 회복세와 주식시장 호조 등으로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 달간 원/달러 환율은 1140원대에서 1110원대로 30원 이상 하락했다. 3분기 GDP가 1.4%라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였고, 9월 경상수지도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67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0월 수출 실적도 호조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 하락 압력이 강화됐다.
다만 지난 주말(3일) 환율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 국내 증시에서 차익을 실현하려는 외국인투자자들이 매도세를 보였고, 정부 당국이 경계감을 나타내면서다. 국내 경제지표 호조에 한국은행 금리인상 이슈가 맞물리면서 원/달러 환율 하락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내년 수출 전망은 흐려진 상황이다. 달러 뿐 아니라 엔화에 대해서도 원화가 빠르게 강세를 보이면서 수출기업의 채산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다. 원/엔 환율도 1년10개월만에 최저치 행진을 이어갔다. 원화 강세와 엔화 약세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수출경쟁력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원/엔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은 평균 4.6% 감소한다.
지난 주말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261 계약 순매도했고, 지수는 0.20포인트(-0.06%) 내린 339.50으로 마감했다. MSCI 한국 지수는 -0.11% 내린 75.79로 이틀째 하락 마감했다. 월요일 코스피지수는 약보합권에서 출발이 예상된다. 낙관적 투자심리에 강세장이 이어지고 있다. "달리는 말에서 뛰어 내리지 말라"는 주식 격언을 생각하며 서둘러 뛰어 내릴 필요는 없겠다. 다만 최근 매도세를 보이고 있는 외국인의 수급동향에 주목하는 대응전략은 필요해 보인다.
오늘(6일/월) 주요국 지표발표는 중국 - 3분기 경상수지, 유럽 - 10월 유로존 서비스업 PMI,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4분기 Ifo 유로존경기동향, 미국 - 10월 고용추세지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시아 순방(~14일) 등이 예정돼 있다.
◆ 기업실적 호조에 3대지수 모두 사상최고치 경신 <미국시장분석>
주말 뉴욕증시는 10월 고용보고서 등 경제지표가 혼조를 보였지만, 애플의 호실적 발표와 퀄컴의 인수합병 가능성이 기술주를 끌어올리며 3대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애플은 전일 장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하고 이날 2.61% 상승해 시가총액 9000억달러를 돌파하며 사상최고가를 경신했다. 퀄컴은 브로드컴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블룸버그 뉴스에 12.71% 급등했다. 브로드컴 주가도 5.5% 올랐다.
10월 고용지표는 예상보다 부진했다. 미국의 비농업 부문 고용은 26만1000명 증가해 전망치(31만5000명)을 밑돌았다. 실업률은 4.1%로 떨어졌지만, 시간당 평균 소득은 한 달 전보다 다소 하락했다. 그러나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왜곡됐다는 진단 속에 8월과 9월 수치 상향 조정으로 고용지표가 올바른 경로로 가고 있다는 평가다.
다우지수는 22.93포인트(0.10%) 오른 2만3539.19를 기록했고, S&P500지수는 7.99포인트(0.31%) 높은 2587.84를 기록하며 사상최고치로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역시 49.50포인트(0.74%) 상승한 6764.44에 신고가 마감했다. 주간으로 다우지수는 0.5% 올랐고, S&P500과 나스닥지수는 0.3%와 0.9% 상승했다. 다우와 S&P500은 8주 연속 상승해 2013년 11월 이후 최장기간 상승세를 보였고, 나스닥지수도 6주 연속 올랐다.
주말 유럽증시는 달러화 강세에 유로화가 약세를 나타내자 수출업체에 호재로 작용하며 상승 마감했다. 이날 달러 대비 유로 환율은 전날보다 0.4% 내린 1.609달러에 거래됐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트럼프 정부의 세제개혁안에서 세액공제를 축소한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하며 하락 압력을 받았다.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은 이날 장중 -11%가량 하락했다.
독일 증시는 0.28% 올라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고, 프랑스 증시도 0.14% 상승했다. 영국 증시도 0.07% 상승하며 신고가를 경신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에 스페인 증시는 -0.96% 하락 마감했다. 범유럽 우량주지수인 Stoxx50지수는 -0.01% 소폭 밀렸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지수는 0.28% 상승 마감했다. 주간 기준 0.7% 상승해 2주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프랑스계 은행 소시에테제네랄은 순이익 감소에 -4.1% 하락했고, 에어프랑스는 양호한 실적에도 수익성이 낮아지며 -7% 급락했다.
◆ 정부 혁신기업 육성정책에 창투사 강세 <시장핵심이슈>
정부가 기술혁신형 창업기업 육성에 3년간 30조원을 공급하는 등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창투사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정부가 민간 중심의 혁신 창업으로 제2의 벤처 붐을 일으키겠다고 밝혔다. 기술력을 갖춘 창업 기업을 선별해 집중 투자하는 '혁신모험펀드'도 새롭게 출범시킬 예정이다. 정부는 혁신창업을 위해 벤처투자자금의 획기적 증대, 혁신창업 친화적 환경조성, 창업투자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벤처투자 확대를 위해 4대 세제지원 혜택도 도입된다. 스톡옵션에 대한 비과세 특례 부활, 근로자의 우리사주 출자 소득공제 한도도 대폭 확대, 창업 초기 기업에 대한 엔젤 투자 소득공제 확대, 인터넷을 통한 크라우드 펀딩 허용 등이다. 혁신모험펀드 추가조성, 엔젤투자 소득공제 확대, 공모창투조합 세제지원 등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발표는 문재인 정부가 핵심 정책 과제로 내세운 '혁신성장 추진전략'의 첫 번째 대책이다.
DSC인베스트먼트(상한가), 제미니투자(13.99%), 티에스인베스트먼트(13.64%), 엠벤처투자(3.80%), 에이티넘인베스트(2.41%), 대성창투(0.91%), 큐캐피탈(0.68%), SBI인베스트먼트(0.00%), 우리기술투자(-0.74%)
◆ 외국인 매수세 이어지며 코스피 사상최고치 경신 <외국인매매 동향 10/30~11/03 >
코스피지수는 한 주 동안 61.34포인트(2.46%) 오른 2557.97로 마감하며 7주 연속 상승했다. 10월 수출지표 호조로 IT 대형주를 중심으로 상승랠리가 이어졌고,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에 중국관련 소비주들도 반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은 8800억원어치를 순매수해 4주 연속 매수세를 이어갔다.
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은 지난주에 가장 많이 팔았던 SK하이닉스(2464억원)가 차지했고, 그 뒤를 삼성전자(1672억원), LG화학(1526억원), 삼성SDI(1232억원), KB금융(727억원) 순으로 많이 샀다. 순매도 상위 종목으로는 아모레퍼시픽(-1084억원), LG디스플레이(-461억원), 엔씨소프트(-449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445억원), LG유플러스(-318억원) 순으로 많이 팔았다.
코스닥지수도 큰 폭으로 상승하며 1년3개월 만에 700선을 재탈환하는 등 활기를 띠며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한 주 동안 코스닥지수는 11.16포인트(1.62%) 상승한 701.13을 기록하며 5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지난주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은 1621억원어치 순매도하며 2주 연속 매도세를 이어갔다. 특히 9월 이후 6주 연속 집중 매수했던 셀트리온을 2주 연속 대량 매도하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지난주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은 동진쎄미켐(156억원), 서울반도체(147억원), 메디포스트(133억원), 바이로메드(100억원), SKC코오롱PI(83억원) 순이었다. 한편 순매도 상위 종목으로는 지난주에 이어 셀트리온(-1835억원)이었고, 뒤를 이어 에코프로(-151억원), 주성엔지니어링(-107억원), 차이나하오란(-80억원), 에스엠(-77억원) 순으로 많이 팔았다.
◆ 한미 정상회담 등 트럼프 대통령 아시아 순방에 따른 이슈 주목 <주간전망 11/06~11/10>
지난주 증시는 미국 FOMC회의와 차기 연준 의장 지명, 삼성전자 애플과 같은 글로벌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 등 다양한 재료를 소화하며 미국과 유럽증시는 물론 코스피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강세장을 연출했다. 이번주에는 상대적으로 경제지표 등 주요한 발표가 많지 않은 가운데 새 연준 의장과 트럼프 세제개편안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5개국 순방이 시작되는데 방한(7~8일) 및 방중(8~10일) 일정이 주목된다. 7일 한미 정상회담과 8일 한국 국회연설 등이 예정돼 있어 북핵문제 해법도출 여부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기간 동안 돌발 변수가 작용하지 않는다면 시장 분위기는 상승장의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중 관계 계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중국발 모멘텀에 따른 수혜업종에 주목하는 대응전략이 필요하겠다. 11월11일은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쇼핑 데이인 '광군제'다. 중국 소비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주 11/06~11/10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06일(월) : 중국 - 3분기 경상수지
유럽 - 10월 유로존 서비스업 PMI,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4분기 Ifo 유로존경기동향
미국 - 10월 고용추세지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시아 순방(~14일)
07일(화) : 한국 - 금통위 의사록 공개(16:00), KDI 경제동향(2017. 11),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중국 - 10월 외환보유액
유럽 - EU 10월 유로존 소매업 PMI, 9월 소매판매, 獨 9월 산업생산
미국 - 11월 경기낙관지수, 9월 JOLTs 보고서, 9월 소비자신용, 옐런 연준 의장 연설
08일(수) : 한국 - 10월 금융시장 동향, 트럼프 美 대통령 한국 국회연설, APEC 정상회담(8~10일)
일본 - 10월 외환보유액, 9월 경기동향지수
중국 - 10월 수출입 무역수지(18:00)
미국 - 주간 모기지 신청건수, 주간 원유재고
09일(목) : 한국 - 옵션만기일, 10월 자동차산업 동향
중국 - 10월 CPI, PPI(10:30)
유럽 - ECB 경제 보고서, 獨 9월 무역수지
미국 - 9월 도매재고,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10일(금) : 한국 - 10월 수출입물가지수, 11월 최근경제동향(10:00)
유럽 - 英 9월 산업생산, 獨 9월 경상수지
미국 - 11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카카오톡 무료 채팅방에서는 장중(08:30~16:00) 리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 실시간 추천주와 elw매매에 참여 체험해 보십시오.
무료 채팅방 바로가기 => https://goo.gl/ZMEbKx
* TAKE-5 매매기준은 성공투자의 필수입니다.
1.실적호전주잡기
2.수급우량주잡기
3.매수포인트잡기
4.매도포인트잡기
5.조급한마음잡기
성공투자하십시오. 감사합니다. 김양균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