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 1분기 실적 전망 수출주보다 내수주 상향 (한·러 가스관 관련주)
2018/03/19 07:54:42 조회 : 25940
◆ 1분기 실적 전망 수출주보다 내수주 상향 <투자전략>
증시가 2500선 전후에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도 떨어지고 있다. 코스피 상장사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에 비해 9.7% 증가했지만 지난해 1분기(25.34% 증가)에 비해 이익증가세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 전과 한달 전 예상했던 컨센서스 보다도 각각 6.51%, 0.70% 감소했다.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 자료)
업종별로는 디스플레이 업종이 3개월 전보다 추정치가 53.8% 급락할 것으로 전망됐고, 반도체 업종도 4.71% 감소할 전망이다. LCD 패널 가격 하락과 환율 하락, 애플 판매 부진이 악재로 작용했다. 특히 조선업종은 적자로 돌아서는 등 대부분 업종의 1분기 실적 추정치가 하향조정되고 있다.
3개월 전보다 영업이익 추정치가 상향된 업종은 증권(26.79%), 에너지(4.78%), 은행(2.41%) 정도였다. 1분기 실적시즌을 앞두고 종목 선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오늘 21일 FOMC에서 미국 금리인상 이후 원/달러 환율의 추이에 주목해야겠다. 무역전쟁 등 불확실한 대외 변수가 많은 수출기업에 비해 내수업종의 실적전망이 상향되고 있는 모습이다.
계춘영 인도 주재 북한대사가 "개성공단을 재개 확대해야 할 뿐 아니라 황해도 해주까지 일대를 한반도 통일경제권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개성공단을 활용해 대북 제재 국면을 풀어보려는 의도로 보인다는 해석이다. 대북 경협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핵심이슈에서는 남북관계 해빙모드에 한·러 가스관 관련주를 집중 조명해 봤다.
주말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87계약 순매수했고, 지수는 0.50포인트(0.15%) 오른 323.65로 마감했다. MSCI 한국 지수는 0.17% 상승한 76.28로 마감했다. 월요일 코스피지수는 보합권 출발이 예상된다. 코스피 2500선 안착을 위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오늘(19일/월) 주요국 경제지표 발표는 한국 - 생산자물가지수(PPI , 06:00), 중국 - 주택가격지수, 전국인민대표대회(~20일), 유럽 - EU 1월 무역수지, 건설생산, 獨 3월 분데스방크 월간보고서, 미국 -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20일) 등이 예정돼 있다.
◆ 경제지표 호조에도 불확실성 지속되며 소폭 상승 <미국시장분석>
주말 뉴욕증시는 경제지표 호조에도 무역전쟁 우려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소폭 상승에 그쳤다. 주택지표는 부진했지만, 산업생산과 소비자태도지수는 호조를 보였다.
국제유가(WTI)는 세계 경기 호조에 따른 수요증가 기대로 1.9% 상승한 62.34달러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72.85포인트(0.29%) 오른 2만4946.51로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다. S&P500지수는 4.68포인트(0.17%) 상승한 2752.01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25포인트(0.01%) 높은 7481.99로 소폭 상승했다. 주간으로 다우지수는 -1.6% 내렸고, S&P500지수도 -1.3%, 나스닥지수 역시 -1.0% 하락했다.
유럽증시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둔화되며 ECB가 온건한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하며 이틀 연속 상승으로 마감했다. 2월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은 1.1%로 잠정치(1.2%)와 1월(1.3%)보다 하락했다. 예상보다 약한 인플레이션 지표에 유로화는 약세를 보였다. 글로벌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가 잦아든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독일 증시는 0.36% 상승했고, 프랑스 증시도 0.29% 올랐다. 영국 증시 역시 0.34% 상승으로 마감했다. 범유럽 우량주지수인 Stoxx50지수는 0.72% 높았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지수도 0.22% 올라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주간 기준으로 -0.1% 하락했다.
◆ 남북관계 해빙모드에 한·러 가스관 관련주 주목 <시장핵심이슈>
오는 4월 말 남북정상회담, 5월 안에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정세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한·러 가스관 관련주들이 사업 재점화 기대감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러시아 PNG 사업이 남북 관계 해빙 모드에 재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지난해 7월 베를린 선언에서 공개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이 구체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러시아 PNG 사업은 노무현 정권 시절인 2004년 9월 러시아 방문시 천연가스 협력에 합의한 이후, 2006년 10월 정부 간 가스협력협정을 체결하는 등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PNG 사업 실무기관으로 선정된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국영가스기업 가즈프롬은 PNG 관련 공동연구 및 협상 등을 추진해오다 2013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논의가 중단됐다.
맹성규 국토교통부 2차관은 지난 12일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러시아 가스관 연결과 북한의 노후 철도 개량 사업을 연계해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관련주로 동양철관(6.25%), 하이스틸(3.02%), 대동스틸(2.53%), 엔케이(3.57%), 대원전선(2.14%)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 외국인 매수세 IT 대형주로 쏠리며 지수 상승 <외국인매매 동향 3/12~3/16 >
지난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34.52포인트(1.40%) 상승한 2493.97을 기록하며 2주 연속 상승 마감했다. 북미정상회담 발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긍정적 전망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IT 대형주가 2주 연속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지난주 외국인은 7851억원 어치를 순매수해 3주만에 매수세로 돌아섰다.
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4859억원), SK하이닉스(3380억원), 카카오(851억원), 삼성SDI(729억원), CJ대한통운(641억원) 순으로 많이 샀다. 순매도 상위 종목은 지난주에 이어 셀트리온(-604억원), SK텔레콤(-448억원), 현대모비스(-376억원), 현대엘리베이(-331억원), 넷마블게임즈(-315억원) 순으로 많이 팔았다. 매수에 비해 매도는 미미한 수준으로 순매수 강도가 강했다.
코스닥지수는 지난 주말보다 28.63포인트(3.31%) 상승한 894.43을 기록하며 2주째 상승하며 900선 재진입 가능성을 높였다. 에스엠의 키이스트 및 에프엔씨애드컬쳐 인수로 엔터테인먼트 업종이 강세를 나타냈다. 외국인은 1955억원 어치를 순매수하며 3주 연속 매수세를 이어갔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은 3주 연속 신라젠(790억원)이 차지했고, 뒤이어 카페24(368억원), 펄어비스(262억원), 메디포스트(239억원), 네이처셀(226억원) 순으로 많이 샀다. 한편 순매도 상위 종목으로는 지난주에 이어 셀트리온헬스케어I(-638억원)가 차지했고, 메디톡스(-217억원), 키이스트(-112억원), 테스(-110억원), 셀트리온제약(-109억원) 순으로 많이 팔았다.
◆ 21일 FOMC회의, 23일 철강 관세 부과 시행 등 변동성 요인 <주간전망 3/19~3/23>
이번주 투자자들은 21일 FOMC 회의에 모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첫 금리인상이 전망되는 가운데 점도표 상향조정 여부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통화정책 회의가 다가오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 금융시장에서도 미국이 긴축 강화 움직임을 보이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이탈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미국 금리 인상과 철강관세 부과 등 굵직한 이슈들이 코스피 2500선 안착을 시도하는 국내 증시의 변동성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보호무역 확대에 따른 무역분쟁 우려는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철강 관세부과 시행날짜가 23일로 다가오면서 우리나라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정부의 전방위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철강 관세를 지렛대로 미국 측은 한미FTA 개정 협상에서 우리 측의 파격적 양보를 끌어내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측은 철강 관세와 연계해 자동차와 부품의 비관세 장벽 해소, 원산지 규정 강화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각하지 않았던 양보를 각오해야 할 지도 모르겠다.
<이번주 3/19~3/23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19일(월) : 한국 - 생산자물가지수(PPI , 06:00)
중국 - 주택가격지수, 전국인민대표대회(~20일)
유럽 - EU 1월 무역수지, 건설생산, 獨 3월 분데스방크 월간보고서
미국 -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20일)
20일(화) : 한국 - 2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16:00)
유럽 - 獨 PPI, ZEW 경기기대지수, 英 CPI, PPI, 주택가격지수
미국 - FOMC 정례회의 1일차
21일(수) : 한국 - G20 재무장관회의 결과
일본 - '춘분의 날'로 금융시장 휴장
유럽 - 英 실업률, CBI 산업현황보고서
미국 - FOMC 기준금리 결정, 경제전망, 기존주택판매, EIA 주간 원유재고
22일(목) : 일본 - 전산업지수, 제조업 PMI
유럽 - 英 BOE 기준금리 결정, ECB 경제 보고서, 유로존 獨 PMI, 英 소매판매
미국 - IMF 정례 언론 브리핑, 마킷 PMI, 경기선행지수,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23일(금) : 한국 -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12:00), 삼성전자 KB금융 하나금융 주주총회
일본 -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유럽 - EU 정상회의, 英 1분기 BOE 분기 보고서
미국 - 내구재수주, 신규주택판매, 산업생산·설비가동률
카카오톡 무료 채팅방에서는 장중(08:30~16:00) 리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 실시간 추천주와 elw매매에 참여 체험해 보십시오.
무료 채팅방 바로가기 => https://goo.gl/ZMEbKx
* TAKE-5 매매기준은 성공투자의 필수입니다.
1.실적호전주잡기
2.수급우량주잡기
3.매수포인트잡기
4.매도포인트잡기
5.조급한마음잡기
성공투자하십시오. 감사합니다. 김양균대표